티스토리 뷰


리서치 수행하기

    교내외 리서치를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 고객을 모집(recruiting)할 수 있다.


    • 피험자 모집 : 사용자리서치에 참여하는 목표 고객(피험자)을 모집하는 방법은 직접 모집하거나 리서치 대행사에 의뢰를 하는 방법의 구분이 있을 수 있다
    • 피험자 선별(Screening) : 피험자를 모집하는 단계에서 리서치의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을 식별하여 걸러내는 선별 작업을 수행한다.

    • 사용자리서치 수행 기법

      1. 개별 인터뷰 :사용자와의 1:1 대화를 통해 조사를 수행하는 방법.
      2. 맥락 인터뷰 :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업무 환경에서 사용자를 관찰하면서 업무에 대해 이야기를 듣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인터뷰
      3. 설문조사 : 대규모의 집단을 대상으로 패턴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리서치 목적에 맞게 설문지 를 설계하여 진이를 배포 하고 결과를 수집하는 방식식
      4. 포커스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 중립적인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자가 특정 주제에 대한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해 그룹토의를 진행하는 기법
      5. 카드 소팅(Card Sorting) : 사용자리서치 대상이 되는 제품/서비스에 대한 항목 단위의 정보를 담은 카드들을 사용자에게 나누워 주고 유사하다고 생각한 항목들을 묶어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하는 기법
      6. 사용성 테스트(Usibility Test) : 사용자에게 제품/서비스의 사용과 관련한 태스크를 부여 하고 이를 수행과정을 관찰하는 기법
      7. 휴리스틱 평가/전문가 리뷰(Heuristic Evaluation/Expert Review) : UI/UX 전문가 그룹이 기존의 기준을 가지고 제품/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기법
      8. 페르소나(Persona) : 기존의 사용자 리서치 등을 통해 얻어진 정보에 기반하여 제품/서비스의 사용자를 잘 표 현할 수 있는 페르소나를 작성하여 피험자 선별의 기준과 개발참여자간에 사용자에 대한 기준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
      9. 5 Whys :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왜(Why)?”라는 질문을 5번 반복하여 질문한다는 의미로 5 번이라는 숫자는 상징적 의미이다.
      10. 쉐도잉(Shadowing) :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일상과 행동을 그림자처럼 밀착해 관찰/녹화하여 분석하는 기법
      11. 다이어리 스터디(Diary Study) : 사용자가 카메라나 비디오 등으로 자신의 일상, 행동, 주변 환경 환경을 스스로 촬영해 기 록한 다이어리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회수해 분석하는 기법
      12. 이해관계자 인터뷰 (Stakeholder Interview) : 프로젝트와 관련된 내부 이해관계자를 뜻하며, 프로젝트 매니저,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 기획자, 퍼블리셔, 의사 결정자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인터뷰에서는 세부 기능보다는 타켓 유저가 누구인지, 문제점이 무엇인지, 목표가 무엇인지 등 방향성 위주의 질문에 집중하여야 합니다.
      13. 필드 리서치(Contextual Inquiry) : 디자이너가 사용자의 공간 안에 들어가서 +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 공감을 통해 사용자의 숨겨진 니즈를 찾아내는 '정성적 조사'방법입니다. @출처: http://story.pxd.co.kr/966 [pxd UX Lab.]

  • 모집된 국내외 목표 고객에 대해서 적합한 피험자를 설별 할 수 있다.
  • 리서치 실험계획의 방법론에 따라서 국내외 리서치를 수행할 수 있다.


image 출처 : https://cdn.dribbble.com/users/103909/screenshots/3755454/indiez-06.png


'UI.UX 엔지니어링 > 사용자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서치 수행하기 (2)  (0) 2018.12.28
사용자 리서치 계획하기  (0) 2018.12.24
댓글
© 2018 eh2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