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izard of OZ
참가자들이 실제로 작동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고 있다고 믿도록 설정하고, 실제로는 연구자가 배후에서 시스템 역할을 대신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목적은 사용자가 개발 예정인 제품이나 인터페이스를 프로토타입 제작에 비용을 투자하기 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제품에 대한 참가자의 개방성과 관심을 측정하고 혁식적인 기술에 대한 경계 조건을 탐구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유연하고 반복 적용이 가능하여 탐색적이면서 개념적인 초기 단계에서 디자인을 유도하고 안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디자인 과정 마지막까지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Data Modeling
실세계를 모델화 하고 모델을 메타 모델화 하여 이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구성요소를 정의 함으로써 호환성 및 시스템간의 자동성을 보장하고자 하는 기술입니다.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모델링에 적용할 수있는 구조,규칙,통제,이론,구문 등의 표준 데이터를 분석,설계,개발하는 과정의 통칭입니다.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 관찰 사항, 필요 사항 등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연구의 주제를 정리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사용성 평가 과정을 통한 관찰 사항을기록 (포스트잇 한 장 당 관찰 사항 하나만 기록)
- 벽에 포스트잇들을 붙임
- 과정을 통해 사람, 그들의 일, 그들이갖고 있는 문제의 본질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다이어그램을 통해 디자인 영역, 전망에 대한 개인적, 공통적 견해를 나누기
Persona
페르소나는 사람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기는 어려우나 일정한 통합 과정을 거쳐 총체적인 행동 양식을 가진 대표 인물상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나온 인물상을 통해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면 다른 사람들의 공감을 쉽게 부를 수 있고, 더욱 적합한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 주로 한 페이지 이하의 짧은 설명으로 묘사합니다. 인물의 이름, 사진, 그림, 연구와 관련된 인물의 상황, 목표, 행동 등을 집중적으로 묘사합니다. 페르소나는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점검할 때에도 이용되며 설득력있는 참고 자료가 됩니다.
image 출처 : https://cdn.dribbble.com/users/103909/screenshots/4163523/refundo-04.png
'UI.UX 엔지니어링 > 사용자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서치 수행하기 (1) | 2018.12.27 |
---|---|
사용자 리서치 계획하기 (0) | 2018.12.24 |